어깨충돌증후군이란?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를 움직여 팔을 들어 올릴 때 견갑골의 견봉과 상완골의 대결절부의 마찰이 발생하여 염증이 유발되는 병적인 상태를 어깨의 충돌증후군이라 합니다. 이러한 마찰은 견봉과 대결절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근개 힘줄, 견봉하 점액낭 등에 염증 및 손상을 발생시키며 이는 어깨의 통증 및 불안정성을 이야기합니다. 주로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이 많은 야구, 배드민턴, 수영 등 운동선수나 어깨를 자주 사용하는 미용사, 요리사, 페인터 등의 직업군에서 자주 발생 할 수 있고, 중년에게는 흔한 어깨통증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증상
충돌 증후군의 가장 특징적이며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입니다. 흔히 삼각근 부위에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상완부가 아프기도 합니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한 자세나 과격한 움직임에서 통증이 유발되지만 심해지면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히 팔을 90도 이상 올릴 때 어깨 앞쪽 또는 위쪽에서 통증이 느껴지거나, 팔을 뒤로 돌릴 때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밤에 어깨가 욱신거리거나, 누우면 통증이 심해지는 야간통으로 밤에 누워 자려고 하면 통증이 심해져서 잠을 못 이룰 정도록 심해지기도 하여 수면장애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간혹 견봉하 조직들의 충동에 따른 염발음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정 각도에서 어깨가 걸리는 느낌이 있거나, 특정한 움직임에서 소리가 나 환자가 인식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외부에서 들릴 정도로 크게 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어깨를 사용하면 점점 통증이 심해지고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나타나는 원인
어깨 충돌 증후군 발생과 관련된 원인들로는 회전근개 힘줄의 비후 혹은 힘줄 내의 석회의 침착등 내적인 변화, 혹은 견봉골, 견봉의 골극, 대결절의 외골증 등이 있으며, 견관절의 불안정성에 의한 경우도 있습니다. 상완골두와 견봉 사이의 공간이 좁아진 경우 견봉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골극이 발생할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어깨 주변 근육을 자주 사용하고 팔을 위로 드는 동작을 많이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의 경우 지속적으로 근육 손상을 입게 되어 힘줄의 비후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견봉 선천적인 형태학적 변이가 충돌증후군과 관련된 경우도 있으며, 회전근개 손상이 있었을 경우나 어깨관절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견봉과 상완골두 사이가 좁아져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견봉 및 쇄골의 관절인 견쇄관절에 염증이 생길 경우에도 상완골두와 견봉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충돌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견관절 주위 근육의 손상으로 인한 불안정성 견봉과 상완골두 사이가 좁지 않았더라도 회전근개의 근육이 손상되어 변형되면 상완골두 하부의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견관절 외전시 상완골두 하부 조직들이 상완골두를 잡아서 회전을 시켜줘야 하는데 그 힘이 약해져 상완골두가 회전되지 않고 그대로 위로 딸려 올라가면서 견봉하 조직들을 압박하게 됩니다. 또한 거북목, 둥근 어깨 자세로 인해 어깨 주변 구조가 변형되거나, 회전근개 근육이 약해지면서 어깨 충돌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어깨충돌증후군 치료 방법으로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방법 두가지가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 목표는 통증의 해소,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 회전근개 기능의 회복이며 일차적 어깨충돌증후군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입니다. 충돌 증후군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운동범위가 감소된 경우가 많으므로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운동범위를 회복하고 관절 주변 연부조직의 유연성을 회복합니다. 진통 소염제 및 근이완제의 복용을 포함한 약물 치료는 통증을 조절하고 스트레칭 운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보조합니다. 충분한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증상 조절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견봉하 점액낭 내 스테로이드와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는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므로 증상이 미미하거나 없다면 수술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4-6 개월 정도 시행해도 호전이 없고 생활에 많은 지장을 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견봉하 골극이나 모양을 다듬어 주는 견봉 성형술, 견봉하 점액낭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스트레칭과 운동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에 어깨를 사용하는 운동을 시행할 경우, 충분한 워밍업이나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나 근력 운동을 피하고 스트레칭 운동을 통한 관절 운동 확보와 통증 감소를 위주로 하는 것도 어깨충돌증후군 치료와 예방에 좋습니다. 회전근개 강화 운동 등을 통해 관절에 안정성 및 회전근개 피로에 의한 관절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충돌을 줄이고 유연성 향상을 위해 문틀을 잡고 몸을 앞으로 기울여 어깨 앞쪽을 늘려주는 도어 스트레칭이나,, 손가락으로 벽을 타고 올라가며 천천히 어깨를 올렸다 내리는 벽 크롤링 운동이 좋습니다. 어깨 안전성 향상을 위해 탄력밴드를 잡고 팔꿈치를 몸에 붙인 채 바깥쪽으로 당기는 운동과 탄력밴드를 몸 쪽으로 당기면서 팔꿈치를 붙인 채 회전하는 내회전 운동이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염성 100% 수두 원인 알아보고 예방하기 (1) | 2025.03.10 |
---|---|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백일해 증상 알아보기 (2) | 2025.03.08 |
공기중에 떠다니는 결핵균, 결핵 치료 방법은? (0) | 2025.03.04 |
스치기만해도 극심한 통증, 40대 이상 남성이라면 원인 알아보고 통풍 치료하기 (1) | 2025.03.02 |
파킨슨병 증상, 조기발견 으로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2)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