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목터널이란, 손목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신경을 통과하는 인대와 뼈로 이루어진 터널 같은 형태를 말합니다. 이 터널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여기를 지나가는 신경이 손상되어 이 신경 지배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통증과 이상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질환에 걸릴 확률이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양측에서 많이 발생하고 주로 사용하는 손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컴퓨터나 진동 기계등 손이나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직장인들에게 직업병의 일종으로 팔에서 발생하는 신경 질환 중 가장 흔한 질병입니다.
나타나는 증상
손목 터널 증후군의 증상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중지 그리고 약지 일부가 저립니다. 새끼손가락은 저린 증상이 없지만 간혹 손 전체가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몇 분 간 손목을 굽히고 있을 때 해당 부위에 저림이 유발되기도 하고, 손목을 두드릴 때 동일한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 잠자는 도중에도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껴서 잠에서 깨고 난 후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이 진행이 된 경우 엄지 손가락 쪽 감각이 떨어져 엄지 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하며, 손의 힘이 약해지고 손목을 잘 못쓰는 것과 같은 운동 마비 증세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실제적으로 부어있지 않지만 손가락 및 손바닥이 부은 것 같은 부종감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차가운 물에 손을 넣거나 날씨가 추우면 손끝이 유난히 시리고 저린 증상도 흔하게 발생합니다. 근육이 마를 정도로 마비가 진행되면 수술 후에도 완전히 회복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원인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압박은 터널 주변 또는 터널 내 조직의 부기, 혹은 손목의 손바닥쪽에 생기는 섬유 조직 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이 비교적 잘 알려진 경우들에는 수근 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그리고 수근관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이 있습니다. 손목 부위의 골절 및 탈구로 수근관이 좁아져서 정중 신경이 눌리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골절이 잘못 붙거나 붙지 않는 등의 후유증으로 처음에는 증상이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증후군은 중년 이후의 여성, 비만인 사람, 노인, 당뇨병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임신 중에 이 증후군이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서도 흔하게 발생합니다.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됩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증상이 가볍고 근육 위축이 없는 일부 환자에게 가능한 치료로 수면 중 통증이 주된 증상인 경우에 손목을 중립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거가 용이한 부목을 대어 손목터널증후군 예방과 증상 완화를 시킬 수 있습니다. 깨어 있는 경우에도 가벼운 통증이 있고, 감염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근본적으로 수근 인대를 잘라주어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으로, 수근관 유리술이라 부르며, 피부 절개를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개방성과 관절경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방성 수근관 유리술은 국소 마취 하에 약 2~3cm 절개로 수술이 가능한 비교적 간단한 시술입니다. 관절경적 수근관 유리술은 피부의 절개가 줄어들어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신경 분지 등이 손상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통증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일 경우, 지속적이거나 점진적 신경장애, 운동 기능의 악화를 경험하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또, 손목 손상후 발생한 급성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다양한 예방법
손목터널증후군 예방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컴퓨터 작업 시 손목이 중립 위치에있도록 인체공학적인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작업 중간중간 손목을 부드럽게 움직여 근육을 풀어주고 손가락을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스트레칭해 손목이 잠시 쉴 수 있게 합이다. 테니스 공을 부드럽게 쥐었다 놓아 손의 함을 강화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손목에 과도한 힘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통증이 있을 시 차가운 찜질로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시키고, 손목 보호대 착용으로 움직임을 제한하고 압박을 줄여주는 것도 손목터널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욕은 떨어지는데 체중이 늘어난다면? 갑상선 기능저하 증상 중 하나 입니다. (1) | 2025.02.18 |
---|---|
심장이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생기면 협심증 전조증상 알아보기 (0) | 2025.02.17 |
소변 볼때 통증과 혈뇨를 본다면? 방광염 원인 찾아보기 (0) | 2025.02.15 |
재발이 잦은 포도막염 치료 방법은? (0) | 2025.02.14 |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당뇨망막병증 예방하기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