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호흡 증후군이란
과호흡 증후군은 어떠한 이유에서든 과도한 호흡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과다하게 배출되어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범위 이하로 감소하게 되어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우리 몸은 정상적인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며,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37~43mmHg 범위에서 유지됩니다.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져서 호흡 곤란, 어지럼증,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주로 젊은 여성에게서 잘 발생합니다. 다양한 신체적 이상에 의해서도 일어나지만,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정신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증상
과호흡 증후군 증상은 불과 수 분 이내에 호흡의 욕구가 증가되어 호흡량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과도한 호흡이 끝난 후에는 낮은 혈중 이산화탄소에 대한 반응으로 호흡이 감소하기도 합니다. 어지러움, 시력 장애, 의식 저하, 심하면 실신까지 발생합니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팔다리 감각 이상, 경련, 근력 저하, 마비되는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이 지속되면 혈액이 점점 알칼리화되어 각종 전해질 이상이 동반되며 어지러움, 감각 이상, 손발의 경련, 근육의 힘이 없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알칼리증에 의한 심장 혈관 수축에 의하여 심장 근육에 혈액이 적게 순환되어 가슴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심장의 기능이 급격히 악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알칼리증에 의한 전해질 이상에 의해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알칼리증에 의한 뇌혈관 수축에 의해 어지러움, 시각 이상, 실신, 경련 등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신체적, 정신적 원인
과호흡 증후군 원인은 크게 신체적 원인과 정신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신적 불안, 흥분, 긴장 때문에 발작적으로 과도한 호흡을 하고, 이러한 증상이 다시 불안을 조장하여 과호흡을 지속시키거나 증상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일으킵니다. 이 밖의 신체적인 원인으로는 폐 질환 폐렴, 폐색전증, 폐혈관 질환, 천식, 기흉 등, 심장 질환, 저산소증, 대사성 산증, 발열, 패혈증 등이 있습니다. 또한 폐나 심장은 정상이더라도 체내에 산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인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이나 신장질환, 패혈증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체내의 산-염기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과호흡 증후군이 일어날 수 있고, 호흡 욕구의 증가가 동반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발열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건강한 사람에서도 통증, 프로게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의 증가에 의해 호흡 욕구의 증가가 나타나는 임신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과호흡 증후군은 하나의 병이 아니라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의해 일어나는 증상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므로, 과호흡 증후군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치료과정
과호흡 증후군 원인이 정신적인 것이라면 우선 겪고 있는 증상이 심각한 신체 질환에 의한 것이 아님과, 과호흡 자체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불안이 안정되고, 증상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호흡곤란 증상으로부터 환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환자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주는 것으로도 많은 경우 증상이 호전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로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이 필요할 수 있고, 항불안제, 베타차단제 투약이나 스트레스 감소 치료 등의 치료가 시도됩니다. 과거에는 봉투를 이용한 호흡법으로 비닐봉지를 입과 코에 대고 자신이 내 쉰 숨을 다시 들이 마시게 하여 공기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입하고 폐포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여 pH가 정상화되고 호흡성 알칼리증에 의한 증상이 감소하는 치료법을 이용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이러한 치료를 시행할 경우 저산소증이나 사망 등의 위험이 있어 추천되지 않습니다.
예방하는 법
과호흡 증후군이 신체적 질환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질환이 치유되면 과호흡 증후군도 자연스럽게 치유됩니다. 하지만 정신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병에 대한 불안 자체가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따라서 자신이 우선 겪고 있는 증상이 심각한 심장병이나 뇌질환 등 신체적 질환 때문에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재발의 예방을 위하여 가장 먼저 시도하는 방법이며, 그럼에도 재발할 경우에는 인지 행동 치료 요법을 고려해 볼 수 있고, 난치성으로 발생할 경우에는 정신과적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휴식, 취미 생활 등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와 이완요법, 복식호흡 등을 통한 불안 증상의 조절 등이 도움이 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철 질환 알아보고 예방하기 (1) | 2025.03.31 |
---|---|
봄철 새학기에 유행하는 전염성 높은 수족구병 증상과 원인 알아보기 (1) | 2025.03.26 |
다가오는 여름철, 냉방병 증상 알아보고 예방하기 (2) | 2025.03.19 |
귀뒤, 목밑에 멍울이 만져진다면? 임파선염 원인 알아보기 (0) | 2025.03.17 |
주기적인 예방접종이 필요한 파상풍 증상 알아보기 (0) | 2025.03.14 |